부제: 숫자는 어떻게 진실을 왜곡하는가
저자: 사너 블라우 (노태복 옮김)
책 제목을 보자마자 든 생각은,
돈, 무게, 길이, 층, 배터리 잔량, 시간, 버스번호 등 정말 많은 숫자들에 둘러쌓여 있구나라는 거였다.
이 책은 숫자들, 정확히는 통계에 사용되는 숫자에 대해 조심해야 할 것들을 다뤘다.
관상도, 혈액형도, MBTI도 유구한 시간에 걸쳐 쌓인 Data를 바탕으로 한 것들이지만,
저자는 나이팅게일이 만든 통계 인포그래픽에 사용한 숫자를 인류 역사상 가장 의미있었던 통계 숫자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.

이후 얼마나 많은 숫자들이 왜곡되고, 검증없이 객관적인 양 발표되고, 심지어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지를
담배, 선거, 지능검사 사례 등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.
그리고 마지막에 이런 숫자들을 의심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아래 TIP들을 알려주는데 유용해 보인다.
1. 전달자가 누구인가?
- 한 정치인이 자기 정책이 경제에 좋다는 것을 증명하는 통계자료를 내놓았는지
- 초콜릿 제조회사가 초콜릿이 건강에 좋다고 입증하는 연구에 자금을 지원했는지
2.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?
- 수를 보고 기분이 좋거나 화나거나 슬프면 잠시 제쳐두라. (직감일 수 있다)
3. 표준화 된 수치인가?
- 수치가 경제성장이나 지능과 같은 만들어진 개념을 다룰 경우 주의하고, 그 개념을 다른 방식으로 측정하는 연구를 찾아라
4. 데이터가 어떻게 수집되었는가?
- 무작위 표본이 아니라면 그 수치는 오직 연구에 참여한 특정 집단에만 적용된다.
5. 데이터가 어떻게 분석되었는가?
- 인과관계가 드러난다면,
그 관계가 우연히 나온 건지, 다른 요인들이 있지 않은지, 인과관계가 거꾸로 작용할 수 있는지 점검하라
6. 숫자를 어떻게 제시했는가?
- 평균: 이상치 점검
- 정확한 수치: 100퍼센트 정확한 건 없다
- 등급: 등급표에 이웃한 두 등급은 오차범위로 인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수 있다
- 위험: 위험의 기준이 얼마인지 알아야 함
- 그래프: 수직축이 늘어나 있거나 쪼그라들지 않았는지 설명

'만권의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어플소개] 북적북적 (0) | 2024.07.20 |
---|---|
24-20. 세이노의 가르침 (6) | 2024.07.20 |
24-18. 백종원의 장사 이야기 (4) | 2024.07.20 |
24-17. 봄은 핑계고 - 놀고 먹고 일할 결심 (2) | 2024.07.20 |
24-16. 가짜 노동 (2) | 2024.05.13 |